본문 바로가기

위 없는 법의 말씀

신묘장구 대다라니경

   (화천수)  

 

 

나모  라   다나다라야 야 (1句).....( 이 구절은 관세음보살님의 본신 (本身 ) 이 니 대자대비한 보살님의 용심을 보인 진언이다 이대문은 높은 소리로 읽어서는 안된다  )

나막 알 ~ 약 (2 句) (이 구절은  여의륜 보살님의 본신이니. 읽을 때는 오직 정성스러운 마음을 지니라.)

바로 기제 새바 라 야 (3 句) ( 이 구절은  바리를 듣고 계신 관세음보살님의 본신이니. 만일 사리나 영골이 생기 기원하거든보살님의 바리드신 모습을 염하면서  외우라.)

모지 사다바 야  (4 句) (이 구절은 불공여래견색보살 (不空如萊絹索菩薩>이 천병 (天兵 )을 거느린 상이다. 이 보살은 원래 六 관세음의 한 분인데. 묘법의낚싯줄로 하여. 고해중생을  낚아서 열반극락에 보내는 관음화현이시다.)

마하 사다바 야 (5 句) ( 이 구절은 보살의 근본 되는 마음자리를 뜻하며 관세음보살님이 스스로 주문을 외우시는 모습을 나투신 진언이다.)

 마하 가로 니가야 (6 句)( 이 구절은 마명보살의 본신이니. 손에 번뇌를 끊고 악마를 항복받는. 신비로운 무기

( 한문 넣을 곳  =바아라= 한문 )를 가지고 있는상.)

 

 

 (7 句)( 이 옴자는 일체 귀신이 무릎을 꿇고  합장하여 부처님이 말씀하신 주문을 정성으로 듣는 것을 뜻하는 주문이다.)

살 바 바예수 (8 句)( 이 구절은 욕계 육천(六天> 가운데 첫째하늘인 四대천왕 동주의 수 호하는 지국천왕과 남주를 수호하는 증장천왕과 서주를 수호하는 광목천왕과 북주를 수호하는 다문천왕을 말한다 )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9 句)( 이귀절은 사대천왕이 각각 지배하는 사 대천의 귀신의 이름을 뜻한다. 곧 동방천왕이  거느린 건달바와 서방천왕이 거느린 용왕중과 북방의 야차와 남방천왕이 거느린 구반다를 가리킨다

나막 가리다바.  이맘알-야 (10 句) (이 구절은 용수 보살의 본신이시니. 이주문을 읽을 때는 모름지기 빠뜨리거나 잘못 외우지 말라.

바로 기제 새바라. 다바 (11 句) (이 구절은 원만 보신 노사나불의 본신이시다. 광대하고 원만하고 불가사의한 공덕을 갖추고 계시다.)

이라간타. 나막. 句) (이 구절은 온 법계의 근본이며 청정법신 이신 비로자나불의 본신이시다. 조심하여지성으로 외우라.)

 

 마발다. 이사-미 (13 ) (이 구절은 양두신왕보살의 본신이시니.모든 천마로 권속을 삼느니라.)

 살발타  사다남- 수반 (14 句) ( 이귀절은 감로왕 보살을 뜻하는데 관세음보살의 성지에 있는 관세음보살의 권속이다. 관세음보살의 성지는 관세음보살의 원통교를 펴는 근본 도랑인 보타낙가산에 있는 모든 구도자를 일컽는다.)

 아 예 염. (15 句) (이 구절은 비등야차천왕을  말하는데사방을 두루 다니면서 옳고 그른 선약을 살피는 신이다.

살 바 보- 다남 (16 句) 이귀절은 바가제신왕이다 모양이 검고 크며. 표범의 가죽 같은 것으로 갑옷을 해 입고 손에는 철퇴를 들고 정법을 옹호하는 신장이다.)

바바말아. 미수다감 (17 句) ( 이 구절은 군다리보살의  본신이시다. 쇠로 만든 바퀴와 겹으로 드린 쉬줄을 들고 있으며 눈이 셋이나 되는 분이시다. 모든

단 냐 타- (18 句) ( 이 구절은 보살의 종자를 뜻하는 주문이며 스스로 주문을 외우는 상을 나툰 보습.)

 

. 아로계(19구)

아로가  마지로가  (20 句) (이 구절은 대범천왕의 본신을 뜻하는 진언이니  신선들로 권속을 삼고 부락을 삼는 분이다. 부락이라는 말은 三범천 곧 대범천 범보천  범중천의 대중을 가리킨다.) 

지가란제 (21 句) ( 이 구절은 제신왕을 가리킨다. 키가 크고 빛이 검은 신으로 역시  정법을 옹호하는 신이다.) 

혜 혜 하례. (22 句) ( 이귀절은 욕계육천 가우네 둘째 하늘인 三十三천을  뜻하며 마혜수라  천신이  천병을 거느린 것을 뜻한다. 푸른색 모습을 하고 있다.)  

마하모지. 사다바. (23 句) ( 이 구절은 진실한 보리. 지혜의 마음이 견고하여 잡난한 마음이 없는  보살이란 뜻이다.)  

사마라 사마라 (24 句) 이 구절은 향벅보살이 五방의 <귀신병사 >를  거느린 불가사의한  위신력을 뜻하며  역시 호법 선신이다.)  

하리나야.(25 句) 이귀절은  보살이 꾸짖고 벌주는 말로 훈계하여  중생을 제도하는 상을 보인  주문이다.)

 

구로. 구로. 갈마( 이 구절은 공신보살이  천대장군을 거느리고 이십 만억 천병을 통솔하는 상이다 )

~다야 사다야.(27 句) (이 구절은 엄중보살이 공작왕등의 공작군사를 거느린 모습을 보이는 주문이다.)

도로도로 미연제.(28 句) (이 구절도 역시 엄중보살이 많은 군사를 거느리고 정법을 방해하는 마귀등을 항복받는 모습.)

마하 미연제  (29 句) (이귀절 역시 엄중보살이 공작 군사를 거느리고 정법을 위해 마군을 항복시키는 뜻.)

다라  다라.(30 句) (이 구절은 관세음보살이 대장부 몸을 나툰것을 뜻한다. )

다린(  31 句 ) ( 이귀절은  사자왕의 군사를 뜻하니 독송하면 반드시 외호의 가피를 입는다. )

나례. 새바라(32( 이 구절은 벽역보살이 모든 마귀들의 권속을 항복받는 위엄을 보이는 진언이다 )

자라자라. (33 句) ( 이귀절은 최쇄보살의 본신인데. 손에 금으로 만든 보배 바퀴를 들고 계신 모습을 뜻한다. 이 금륜의 신통은 다 말할 수 없다.)

마라. 미마라. 아마라.(34 句) ( 이 구절은 마귀를 남김없이 다 항복받는 대항마금강의  본신을 뜻한다. 손에 (금륜저=마귀를 항복하는 무기)를 가지고 있다. )

몰 제.(35 句) (이 구절은 부처님이 합장하고. 천수천안관자제보살의  신묘장구 외우는 뜻을 들으심으을 보여준 진언이다. )

이혜 혜 (36 句) (이 구절은 마혜수라천왕을 뜻한다. 이 천왕은 하늘 병사를 거느리고 모든 귀신들을 통솔한다

로계. 새바라. 라-아( 이 구절도 마혜수라왕이  하늘병사를 거느리고 모든 귀신들을 통솔하는 모습.)

 

미나미. 나( 이 구절은 관세음보살님이 손에 방패와 활과 화살을 든 모습을 나툰 진언이다.)

나베. 사미. 사미. 나사야.(39 > ~ 하자라. 미나미. 나사야.(40 句) (이 구절은 아미타불의 본신이시니. 곧 관세음보살의 본사 (本師=본 스승)이시다)

호로- 호로 (41 句) 마라호로. 하례.(42( 이 구절은 부처님의 정법에 생명을 걸고 보호하는 파부신왕 중을 뜻한다.)

바나마. 나바(악한 마음이 극성해서 흐려진 말세 곧 오탁악세를 말함.)

사라사라. (44 句) ( 이 구절은 오탁 악세를 뜻한다. 마음씨가 흐리어. 악한 마음이 극성해진 말세를 가리킨다.)

시리시리.(45 句) (이 구절은 관세음보살이 일체중생을 이익 되게하시는 불가사의한  공덕을 뜻한다.)

 

소로소로. (46 ) ( 이귀절은 모든 부처님의 나뭇잎 떨어지는 소리를 뜻한다. 곧 모든 부처님이 중생을 연민히 보시어 나뭇잎.

못 쟈 못 쟈.(47( 이 구절은 관세음보살이 고해에서 시달리는 중생들과 인연을 맺는 방편 지으심을 뜻한다.)

모다야. 모다야.이 구절은 아란존자의 본신인데 손에 칼을 가지고 계시다.)

매다리야 ( 49 句) 이귀절은  대거보살이 손에 금칼을 들고 마귀를 항복받는 상이다.)

니라간타 (50 句) 이귀절은 용수보살이 일체 악을 멸해 없애는 보습을 칼을 들고 서  계신상으로 보인 진언이다. )

가마사 날사남 (51 句) ( 이귀절은 보당보살이 손에 철퇴를 든 무서운 모습이다.)

 

바라, 하라, 나야.( 이 구절은 보금광보살이 손에 금강저를 든 것을 뜻한다.)

사바. 하( { 사바. 하}는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이다 )

싣다야. (54 句) ( 이 구절은 일체 법문을 통달한다는 뜻이다. )

사바. 하 (55 句)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마하 싯다야 (56 句) ( 이귀절은 방광보살이  손에 붉은 당을 든 것이다.)

사바. 하)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싣다유예 (58 ) ( 이 구절은 모든  하늘보살들이 모두 손에 금칼을 잡고 계신 모습이다.)

새바. 라야( 이 구절은 서역국의 안식향이라는 좋은 향이 타는 것을 뜻한다.)

사바. 하  (60 句)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니라. 간타야( 이 구절은 산해혜자재왕보살의 본신을 뜻하며. 손에 금칼을 들고 모든 삿된 것을 제지하시는 것을 뜻한다.)

사바 하. (62 句)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바라하, 목카 (63 句) 싱하목카야 (64 句) ( 이 구절은 보인왕보살이 손에 금도끼를 들고 모든 악을 멸해 없애는 것을 뜻한다. )

 

사바, 하(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바나마 하따야( 이 구절은 약왕보살의 본신을 뜻한다. 곧 중생의 모든 병을 고처주시는 자비의 화현이시다.)

사바. 하(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

자가라 욕다야(68 句) (이 구절은 약상보살의 본신이시니약왕보살의 동생격이며, 역시 병고와 액란을 없애 주는 분이시다)

사바. 하 (69 句)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상카섭나네 (70 句) 모다나야 (71 句) (이귀절은 병고와 액란을 없애 주는 신장본신의 모습이다 )

 

사바. 하(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

마하라. 구타. 다라야 (73 句) 이 구절은 보살의 손에 여의도를 갖고 계시는 모습이며 앞 구절의 후렴에  속한다.)

사바. 하(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

바마 사간타 이사. 시체다 (75 句) 가릿나 이나야 (76 句) ( 이 구절은 보살이  두 손으로 도을 받들고 계시는 모습.)

사바 하. (77 句)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

마가라. 잘마 (78 句) 이바. 사나야(79( 앞 구절과  같은 뜻이며 후렴으로 독송함 )

 

사바. 하 )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나모- 라. 다나다라. 야야 (81 ) (관세음보살이 결가부좌하여 좌선하시는 모습.)  

나막. 알- 야 ( 보현보살이 결가부좌하여 좌선하시는 모습이다)  

바. 로기제 (82 ) ( 문수사리보살이 정에 드시는 모습 )  

새바. 라야 ) ( 관세음보살님이 정에  드신 모습.) 

사바. 하 ) ( 온갖 것을 속히 성취한다는 뜻 )

 

_()()()_

 

'위 없는 법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임명!  (0) 2025.01.16
신묘장구 대다라니  (0) 2025.01.15
허망분별의 의식과 일상적 지식의 실상  (2) 2025.01.14
dharma  (2) 2025.01.02
업을 뛰어넘으라!  (2) 2024.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