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욕의 승리자!
위대한 참음 “힘이 없으면서 힘 자랑하는 것, 그것이 바로 어리석은 자의 힘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진리를 멀리 벗어나니 이치로 볼 때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큰 힘을 가지고 있으면서 약한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는 것은 가장 훌륭한 참음이라
할 수 있으니 힘이 없으면 어찌 참고 용서하겠는가
남에게 온갖 모욕을 당할지라도 힘있는 사람이 스스로 참아내는 것은 가장 훌륭한 참음이니
스스로 힘이 없어 굴복하는 것이라면 그것을 어찌 참는 것이라 하겠는가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듯이 두려움에 떨고 있는 다른 사람을 보호하고
남이 나를 향해 불같은 성질을 내더라도 돌이켜서 스스로 침묵을 지켜라.
이러한 이치를 잘 지키면 스스로 이롭고 남에게도 이롭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이러한 이치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에 침묵하고 참는 사람에게
자신이 이긴 것으로 여겨 오히려 험담을 하니, 모욕을 말없이 참아내는 사람이
언제나 이기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 자기와 같은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은 싸우기 싫어서 참는 것이며,
자기보다 약한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이 가장 훌륭한 참음이다.”
부처님은 ‘모욕을 말없이 참아내는 사람이 언제나 이기고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 존경받고 있는 사람들의 생애를 돌아보면
굴곡과 모욕의 순간을 굳게 이겨낸 삶의 편린들이 있습니다
참음은 모래를 금으로 변화시키는 제련의 과정, 만일 참음의 과정이 없었다면
존경받는 인물로 자리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참음은 곧 인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자성어에 ‘타면자건(唾面自乾)’이란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으면 그것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리라는 뜻
이 말은〈♬♪♪사략(十八史略)〉에 나오는 것으로,
측천무후의 유능한 신하 중에 누사덕(婁師德)이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성품이 온후하고 관대하였으며 아무리 무례한 일을 당해도 자세에 흔들림이 없이
항상 똑같았습니다. 어느 날 그의 아우가 대주자사로 임명되어 떠나갈 때
그가 아우를 불러 물었습니다.
“너는 남의 시샘을 면하기 위해선 어떻게 처신하면 된다고 생각하느냐?”
아우가 “비록 남이 내 얼굴에 침을 뱉더라도 결코 상관하거나 화내지 않고 잠자코
침을 닦겠습니다”고 했습니다.
아우의 대답을 들은 누사덕은 다음과 같이 훈계했습니다.
“내가 염려하는 바대로 답하는구나. 만약 어떤 사람이 네게 침을 뱉는다면
필시 네게 뭔가 크게 화가 났기 때문일 터, 네가 바로 그 자리에서 침을 닦는다면
상대의 기분을 거스르게 되어 더욱 화를 내게 될 것이다.
침은 닦지 않아도 자연히 마르게 되니, 그런 때는 웃으며 그냥 침을 받아두는 게 낫다.”
인내가 처세에 얼마나 중요한 덕목인가를 일깨워주는 가르침입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인내보다 더욱 큰 인내를 인욕(忍辱)이라 합니다.
인욕은 세상의 온갖 고통과 번뇌 등을 참는 수행법으로 六波羅密 가운데 하나입니다.
어떠한 역경과 고통에도 굴하지 않고 보살도를 행하라는 인욕바라밀은
이 세상의 온갖 모욕과 고통ㆍ번뇌를 참으며 원한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정진하는 것
세상 사람은 누구나 자기에게 이롭거나 자기를 칭찬하면 즐거워하고,
자기에게 해롭거나 자기를 모욕하면 화를 냅니다. 불교에서는 이런 사람을 가리켜 범부(凡夫)
인내가 없는 세상에선 충돌과 마찰이 있으며, 다툼이 생깁니다.
일찍이 원효성사는 發心修行章에서
“스스로 받을 수 있는 욕과 즐거움을 헌신짝같이 버린다면 사람들은 그를 성인이라고 믿고
존경할 것이며, 사람으로서 행하기 어려운 것을 참고 견디어 행한다면
부처님같이 존중할 것이다”라고
여러분은 본생담에 나오는 인욕선인의 이야기를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포악한 가리왕이 어느 날 후궁들과 꽃구경을 나왔다가 한 선인이 법문을 하는 것을 발견하곤
괘씸하게 여겨 물었습니다. “너에게 묻겠다. 계(戒)란 무엇인가?”
선인이 “참음입니다”라고 답하자 가리왕은 “참음이 계라면 너의 귀를 잘라보겠다”하곤
칼을 빼어 귀를 잘랐습니다.
그러나 선인은 화를 내지도 않고 억지로 참는 기미조차 없었습니다.
더욱 화가 난 가리왕은 선인의 두 팔과 두 다리, 그리고 코를 베어버렸습니다.
선인은 자신의 아픔보다 가리왕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앞섰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하늘에서 조약돌과 모래가 쏟아졌습니다.
사천왕이 가리왕을 벌주는 것이었습니다.
하늘의 노여움에 가리왕은 무릎을 꿇고 참회했습니다.
“이제까지 한 일을 모두 참회합니다.
선인께서는 이 참회를 받아주소서” 선인이 말했습니다.
“대왕이시여, 나에겐 탐욕도 노여움도 없습니다.
만일 나의 마음이 참되고 거짓이 없다면 나의 잘린 손발과 귀,
코가 본래대로 붙게 될 것입니다”
이 말이 끝나자마자 모든 것이 제자리에 붙었습니다.
이를 인욕선인이라 하며 이 분이 부처님의 전신입니다.
이러한 인욕을 실천하는 분들이 바로 인생의 승리자이며 존경받는 존재들입니다.
불자들이라면 인욕을 늘 생활 속에 실천해야 하겠습니다.
특별히 정치하는 사람들이 이글을보고 느끼는 바가 있기을 바랍니다_()()()_
평상심으로!!!
중생심에서 보면 당연한 생각 비록 하나와 하나가 결합해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해
그 힘이 더욱 커지고 상승한다고 해도 중생의 마음으로 보면
결국 ‘나에게 어떤 영향이 미칠까’에 우선적인 관심과 생각이 머물 것이다.
내가 이득이 되면 좋은 것이고 나에게 해가 되면 잘못된 일이 되는 것이다.
부처님은 〈금강경〉을 통해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고,
끝이 없는 중생들을 제도하되 실은 제도를 받은 중생은 없느니라. 라고 설하셨다
만약 보살이 아상이나 인상이나 중생상이나 수자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고 .
여기서 아상(我相)이라고 하는 것은 ‘나’라고 하는 것,
또 나라고 하는 집착에서 벌어지는 모든 행위와 사건을 말한다.
우리는 보통 자기에 대한 자존심을 건드리면 발끈하게 된다.
아무리 친한 사이라 해도 그것을 참지 못한다. 그게 자만심이며 아상이다.
나라는 집착을 강하게 가지면 결국 우리주변의 모든 일을
나를 중심으로 사고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게 된다.
인상(人相)은 나이외에는 ‘남’이다라는 차별심을 말한다.
차별에서 생기는 배타의식이나 차별 의식을 말한다.
내 것만 좋고 내 소견만 옳다 하여 남의 의견,
남의 종교를 다 물리치려는 것이 바로 인상에 해당된다.
서로가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나이외에는 남이고 나와 다르면 그르다는 생각
중생상(衆生相)은 우리가 못난 존재라는 열등의식을 말한다.
비록 우리는 겉은 중생인지 몰라도 그 속은 고스란히 부처다.
그러니 열등의식을 가질 수도 없고 가져서도 안되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는 4백만종이 넘는 생명이 있다고 한다.
이 4백만종이 넘는 생명중에 인간의 몸을 받고 태어나고
또 이 인간중에 불법을 만난 인연이 우리에게 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들이 다 부처다.
우리들 내부에 있는 불성을 찾아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중생상,에 사로잡혀 스스로를 못난 존재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면서 우리 스스로의 행동을 합리화 시키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수자상,(壽者相)은 나이에 대해 편협된 집착 즉 나는 지금 몇살이다. 젊었다 늙었다.
또 우리는 나이를 먹어가는 존재라는 한계의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자신의 참모습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된다
.아상의 번뇌를 통해 인상이 나오고 또한 중생상, 수자상이 나오게 된다.
아상은 매우 미세한 번뇌여서 끊임없이 노력을 해도 완전히 떨쳐 버리기가 참으로 어렵다.
어느 순간에는 떨쳐버렸는 줄 알았다가도
어느새 또 나에 대한 집착 상대에 대한 고정관념이 자리잡게 된다.
우리는 참생명에 대한 신념과 이해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를 못난 중생이라고 낮추어 생각한다
우리들 자체는 불성 그대로이다. 우리들 내부에 온갖 만행만덕을 다 갖추어 있다 하여도
흔히들 나는 업보가 많고 업장이 두터워 무엇이 안돼하고 부정적인 생각 즉 중생상에 빠져 있다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을 가지지 말고 평상심으로 살아라.
모두에게 불성이 있음을 자각하고 부처가 되겠다는 서원을 갖고 정진하는 자세로 산다면
우리가 맺은 이 인간이라는 인연을 소중히 하게되는 것이다
'렌즈 속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향기 따라 (1) | 2022.04.29 |
---|---|
봄 향기따라... (0) | 2022.04.08 |
가을색을 펼처진 장엄한 세상 (0) | 2020.11.25 |
작은 렌즈속....1) (0) | 2020.06.26 |
작은 렌즈 속에 펼쳐진 세상 (0) | 2020.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