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 없는 법의 말씀

베풀면 베푼만큼 불어서 돌아와!

 

나라 살리는 힘도 내 안에 있다. 아픈 사람 보고 마음 내는 것도 보살행-

우리가 마음공부를 하는 것은 좀 더 지혜를 넓히고, 마음이 어디에도 집착하지 않고 걸림 없이 돌아갈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입니다. 보통 불교다 하면 어렵게만 생각하시고 머리 깎은 사람만 하는 공부인 줄 아시는데 그게 아닙니다.

일체 세계, 우주 전체에 생명이 있는 것은 다 불교죠. 살아있는 생명의 근본이 ‘불’이요,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이 바로 ‘교’인 것입니다. 풀 한 포기만 살아있어도 불교인데 네 종교 내 종교 따지는 것은 어찌 보면 우스운 일이죠. 모두를 포함한 것이 바로 불교인데 말입니다.

마음공부를 하다 보면 마음의 폭이 넓어지고 또 한마음이라는 그 자체는 그냥 송두리째 진리로서 초월해서 돌아가는구나 하는 것을 뚜렷하게 아시게 될 겁니다. 여러 가지를 두루 살펴서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을 하십시오. 궁금한 게 있는데도 묻지를 않으면 이게 옳은가 저게 옳은가 하는 의문이 생기고 중심이 잡히지 않아요. 물론 우리가 지금 배우는 것은 이게 옳은가 저게 옳은가 하는 것도 없는 걸 배우고 있지만 사람이 지혜를 넓히기 위해서는 내 의견만 고집하지 말고 남의 얘기도 잘 들을 줄 알아야 합니다.

예전에는 스님들을 공부시킬 때 삼 년을 바릿대를 들려서 내보냈죠. 그 이유는 지혜를 넓히기 위해서였죠. 그러기 위해서는 아무 데라도 가서 부딪쳐 보고 그래서 요만한 것 하나도 진리 아님이 없음을 배우는 게 필요했던 것이죠. 지금은 빨리 살다가 빨리 죽는 세상인데 한철 살다가 가면서 이런 공부를 모르고 납득하지 못하고 넘어서지 못한다면 또 이 세상에 등장을 해야 돼요. 만약에 그것을 넘어선다면 등장을 안 해도 되죠. 그렇게 광대하고 무변하지만 맛을 모르고 있으니 지금 공부해야 하는 일이 시급한 일이라고 볼 수 있죠. 그렇다고 바쁘게 하려고 애쓴다면 오히려 더딜 수가 있으니 급하게 생각지도 마시고 느리게 생각지도 마세요. 그것도 생각하기에 달린 것이니까요.

스님네들이 이 먹물 옷을 입은 뜻은 검지도 말고 희지도 말라 는 뜻입니다. 다시 말하면 검지도 않고 희지도 않은 그 도리에서 너희는 벗어날 수 있느니라 해서 이것도 방편으로 이런 옷을 입게끔 됐어요. 머리를 깎으면 또 머리가 생기고 또 머리를 깎으면 또 머리가 생기고 이러는 건 무명초를 깎으면 무명초가 또 난다는 원리를 알라고 한 거죠. 끝없이 돌아가는 걸 말합니다. 진리가 그러하니까요.

그리고 우리가 둘 아니게 봐라 하는 뜻을 살펴볼 때 ‘항상 둘 아니게 봐야 된다더라’ 이렇게 해서 공부를 하면 안 되죠. 스스로 우러나야 되는 거죠. 이런 예가 있어요. 제가 예전에 시장에 다니다 보면 어린애를 업고 시들시들하게 마른 배추며 무 같은 야채를 요만큼씩 놓고 파는 사람이 있습니다. 시골에서 올라온 노인네들도 조금조금씩 놓고 파는데 물건이 많질 않으니까 빨리 시들까 봐 그게 참 애가 타요. 그러면서 섰다 앉았다 섰다 앉았다 한다고요. 시든 야채를 뒤집어 놨다가 바로 놨다가 하면서요. 그런 걸 보면 깎지도 않고 그냥 삽니다.

그러면 옆에서 그러죠. 스님은 왜 시들시들한 것만 찾아다니며 사느냐고 야단입니다. 아 못 먹을 걸 왜 사느냐는 거죠. 그러나 그것이 그런 분을 위해서 야채를 사들이는 게 아니에요. 또 보시를 하려고 그러는 것도 아닙니다. 단, 내 마음이 아프니까 내 마음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서 그런 것을 좇아 다니면서 사는 거예요. 그분들을 위해서라고 한다면 그것은 잘못돼 돌아가는 거예요. 그분들의 마음이 아프면 내 마음이 아프니까 내 마음이 편안하자고 하는 거죠. 또 다리가 없는 사람들이 가죽을 깔고 무릎으로 기어 다니면서 파는 물건이 있죠. 그런 건 더 비싸지만 일부러 사 줍니다.

그것도 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닙니다. 바로 내가 아픔을 면하기 위해서죠. 비누 하나라도 사면서 그냥 누가 볼까 봐 또 그 사람이 미안해할까 봐 얼마라도 더 얹어서 요렇게 똘똘 뭉쳐서 안 보이게 천 원짜리로 싸서 주고 오죠. 더 주면 더 줬지 그걸 왜 깎습니까. 남이 볼 때는 ‘저 스님은 얼마나 돈이 많길래 시줏돈 받아서 저렇게 쓰나’ 이렇게 생각할까 봐 몰래 그걸 주고 오느라 애를 씁니다. 이런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어요.

그러나 사실은 그게 내 돈이 아니기 때문에 더 잘 써 줘야 되는 이치가 있습니다 . 여러분도 다 자기 돈이 아닙니다. 자기 재산도 아니고요. 그걸 아셔야 됩니다. 갈 때 가져갈 거라면 자기 재산이지만 갈 때 가져가지 못할 거라면 다 자기 것이 아니에요. 안 그렇습니까? 죽을 때 가져갈 수 있는 건 자기의 마음 차원뿐이죠. 그렇지만 그것이 내가 잘나서 그런 것도 아니고 또 남한테 잘났다는 소리 들을까 봐 그런 것도 아닙니다. 단지 내가 당장 봤을 때 불쌍하니까 바로 옛날의 내 모습이니까 내가 나한테 주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게 둘이 아닌 마음이 스스로 생겨야 되죠. 과거부터 내려오면서 서로 엇갈려서 네가 되고 내가 되고 부모가 되고 자식이 되고 이렇게 내려온 인생이기 때문에 그 도리를 알면 첫째, 내가 거북하고 내가 편안치 못하고 내가 괴로워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이죠. 예를 들어서 그렇게 파는 사람이 나였다, 또는 내 아버지나 내 어머니였다 한다면 어떻게 생각하시겠습니까?

그러니 그것이 내 마음이 아프지 않기 위해서예요. 누구를 도와주기 위해서가 아니예요. 내가 나를 돕기 위해서 한다면 그 사람 역시 둘 아니게 도와지게 되고 그러면 서로가 편하고 좋은 거죠. 그러니까 모든 것을 나와 같이만 생각해라, 그러면 얕잡아 볼 것도 없고 아무리 미련하다 할지라도 전자에 내 모습하고 똑같구나 하고 생각한다면 웃음이 나죠. 나중에는 상대도 내 마음과 같이 돌아가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그걸 모르고 마음을 상하게 하고 섭섭하게 하고 그러면 그게 도리가 아니죠. 부처님 법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더더욱 그렇죠.

여러분이 베풀면 베푼 만큼 반드시 몇 곱절로 불어서 돌아옵니다 . 좋은 것은 좋은 것대로, 나쁜 것은 나쁜 것대로 말입니다. 만약에 공을 저 벽에다 쳤다 합시다. 그러면 공이 튀어서 다시 오겠죠. 그 벽에 박혀 있지 않고 반드시 되돌아옵니다. 세게 치면 세게 올 것이고 가볍게 치면 가볍게 오게 돼 있죠. 그와 같은 이치입니다. 나도 넉넉지 못한데 남 줄게 어딨어? 이러시지만 마음이 넉넉하면 저절로 줄 게 생기고 나도 넉넉히 돌아갑니다.

어떤 분이 부모님 천도를 시키고 싶은데 형편이 안된다고 왔어요. 그래서 마음이 지극하면 다 되게 돼 있다고 말했죠. 그랬더니 한 달인가 지나서 왔어요. “아유 스님, 생각지도 않게 돈이 생겼습니다.” 그래요. 아주 받을 수 없는 돈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옛날에 이 분의 아버지가 자기한테 참 잘해줬던 은인이었다고 하면서 돈을 갖다 주더랍니다. 그러니 그것도 내가 가는 게 있어야 오는 것이지 가는 게 없는데 어떻게 오는 게 있겠습니까.

어떤 분은 죽어서 가 보니까 자기 곳간에는 다른 건 하나도 없고 짚단 하나만 있더랍니다. 누가 어린애를 낳을 때 짚단 하나 깔아 준 것 밖에는 없었던 거죠. 그 사람이 다시 이 세상에 나올 땐 거지가 돼서 나오는 거죠. 자기 준 것이 어디로 안 갑니다 잘 살게끔 통장을 만들어 나올 수도 있고 빈 통장을 만들어 나올 수도 있는 거죠. 그러니 여러분이 사시면서 말 한마디라도 따뜻이 하고 마음으로라도 남을 다치게 하지 말고 좋은 데 쓰십시오.

누구나 똑같은 마음을 가지고 잘 쓰느냐 못 쓰느냐도 자기 마음 한생각에 달려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여러분한테 항상 그저 누구한테 말 한마디를 하더라도 섭섭하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고 얘기하는 겁니다. 똑같은 말이라도 측은하게 하는 말이 있고 섭섭지 않게 잘 말하는 게 있고 성을 내서 얼굴을 붉히고 말하는 게 있고 여러 가진데요, 그것이 내가 살아온 모두를 생각한다면 하나도 잘못됨이 없어요. 누구나 몰라서 그럴 수도 있고, 터득이 아직 안 돼서 그럴 수도 있고 , 아직 사람이 100% 될 수가 없어서 그럴 수도 있으니 내가 걸어온 길이 그와 같다면 남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물론 말도 함부로 할 수 없는 거죠. 제가 왜 이런 얘길 하느냐 하면요,

언젠가 미국에 사는 사람이 한국에 왔다가 저한테 이런 질문을 했어요. 한국에 와서도 약 한 달 정도를 스님을 봐 왔고 미국에서도 스님을 봐 왔는데 왜 꼭 나쁜 것을 사 가지고 오십니까? 이왕이면 좋은 것을 사시지 왜 시들고 말라빠진 나쁜 물건을 사십니까? 하고 말입니다. 그건 무슨 까닭이냐고요. 그럼 제가 뭐라고 대답을 했겠습니까? 내 물건이니까 빨리 시들까 봐 시든 것부터 먹으려고 그런다고 대답을 한 적도 있고 아까처럼 대답한 적도 있고 그래요. 여러분도 궁금한 게 있으면 뭐든지 자주 질문을 하세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에요.

그래서 남의 의견도 들어보고 남의 사는 얘기도 듣다보면 지혜가 넓어지죠. 우물 안에서 내가 제일이라고 해서는 안되죠. 바다로 나가서 남이 똥 싸는 것도 보고 구정물이 들어와서 바다로 하나가 되는 것도 보고 또 고름 물, 흙탕물 들어오는 것도 보고 말입니다. 사람이 죽을 때도 거적을 쓰고 죽는 사람, 호화롭게 죽는 사람, 또 남이 호화롭게 보는 사람, ‘저 사람 잘 죽었어’하고 보는 사람 등 이런 문제들을 다 보시란 얘깁니다. 우물 안에서 아무리 잘난 척 해도 바다 구경을 한 사람하고 똑같겠습니까. 전체를 봐야만 지혜가 뚫리는 것 아니겠습니까._()()()_

 

'위 없는 법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무에 구멍을 뚫듯이  (2) 2023.05.23
비록 적게 가졌어도 나눌줄 알아야 보살”  (1) 2023.05.15
허공계가 다 하는 날까지  (2) 2023.03.26
인연 존재와 실상  (1) 2023.03.25
和顔愛語  (1)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