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산에 많은 무덤을 바라보게 장안의 사람들은 나고 또 죽으니 슬프다. 어찌 오래 사는 술책을 배우지 못하고 솔 아래 한 줌티끌이 되고 마는구나” 이것은 사명당 송 운 대사의 무상시입니다.
우리 인생은 이 생에 날 때 부모의 인연 속에 태어나게 됩니다. 사람이 태어나니 늙 고, 늙으니 병들고, 병드니 죽게 됩니다. 언젠가 죽게 마련인 숙명인 게 인생입니다. 일시적으로 잠시 살다 가는 존재이기에 ‘나’라는 존재는 가짜가 됩니다. ‘나’라는 육체는 수만 년을 살다 가는 것이 아니고 언젠가 죽어야 할 숙명적인 존재이기에 ‘가아(假我)’라 합니다.
그러면 ‘실아(實我)’는 무엇인가? 그것은 마음이 고, 넋이고, 얼이고, 본래면목이고, 영혼이고, 정신이고, 육신을 끌고 있는 주인공입 니다. 육신은 생멸(生滅)이 있고 나고 죽음이 있지만 청정한 마음자리인 법신(法身) 은 생멸이 없습니다. 충만하고 불생불멸이고 상락아정(常樂我淨)이기에 생멸이 없습니다. 법화경에서 “제법종연생(諸法從緣生)하니 제법종 연멸(諸法從緣滅)이라”. 모든 법이 인연을 쫓아 생했다가 인연을 쫓아 멸한다고 했습니다. 육신은 늙고 병들어 죽게 마련이지만 마음은 이런 존재가 아닙니다. 우리 인생은 지금 이 순간에도 죽음을 향해 전진하고 있는 것이 인생의 현실입니다.
우리 인생이 영원히 살고자 하는 의지는 죽음에서 단절되고 맙니다. 단절된 계기에서 생과 사는 즉(卽)하고 있습니다. 생즉사(生卽死)고 사즉생(死卽生) 이기 때문에 생사가 열반이고, 보리가 번뇌이기 때문에 이것은 둘이 아닙니다. 그러면 부처님은 어떤 분이냐 하면 상주불변의 진리입니다. 진리라는 것은 생멸이 없고 고금(古今)이 없는 겁니다. 그건 왜 그러느냐면 진리란 것은 생사의 두 극단을 초월했기 때문에 생멸이 없고 고금이 없습니다. 불이 뜨겁다는 것이 진리이고, 물에 적신다는 것이 진리라고 볼 때 진리는 우주에 가득 차 있습니다. 이 진리를 인격화(人格化)시킨 것이 부처님이십니다.
노장철학에서는 천지자연의 도라 그러고, 공자님은 천도라고 말씀하셨고, 불가에서 는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자성(自性)이고 진여(眞如)고 여래장 (如來藏)이라고도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이건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이 질서는 몇 억만년은 가도 어김이 없습니다. 법이란 건 세속적인 집권자가 뜯어고쳐 얼마든지 장기 집권할 수 있지만 도라는 것 은 인간에 있어 최종 최고의 원리가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도 라고 하지 않고 일 체벌을 깨달았다고 말씀하십니다. 불가에서는 신, 조물주, 하느님 등을 부인합니다. 인간은 오로지 자기 자신으로서 인격을 완성하고 공동으로 우주의 대진리를 체달(體 達)해서 대각 위(大覺位), 즉 큰 깨달음에 오르는 것이 인생의 최고목표라고 말씀하셨 기에 불가에서는 하나님이 우주만물을 창조했다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럼 어떻게 말씀하셨냐면 아함경에서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 나므로 저것이 일어나고, 이것이 없어지므로 저것이 없어진다’고 연기의 인연법을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금생에 나하고 인연 있는 사람은 항상 즐겁고, 만나면 좋고, 나하고 인연 없는 사람은 원수처럼 안 대하려고 합니다. 모든 것이 인연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법은 인연생(因緣生)이기에 무자성(無自性)입니다. 무자성이기 때문에 거래가 없고, 거래가 없기 때문에 소득이 없고, 소득이 없기 때문에 필경에는 공(空)입니다. 죽은 송장이 극락을 가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의 지혜로 피안에 이르기 때문에 이걸 마하반야바라밀이 라 말씀드립니다.
마음은 형상과 모양과 빛깔을 가지고 있지 않고 무게와 크기도 없습니다 만은 우리 는 마음의 명에 움직이게 마련입니다. 고통과 번민을 여의고서 내 마음이 즐거우면 이것이 극락이고, 내가 죄를 져서 내 마음이 괴롭고 괴로워서 살 수 없으면 이것이 지옥입니다. 그래서 마음은 네 가지로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수심, 양심, 용심, 섭심 이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러면, 첫째 어떠한 마음을 가져야 하는가 하면 청정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9세기에 임제선사께서는 “청정심(淸淨心)이 시불(是佛)이라” 하셨습니다. 깨끗한 마음이 부처님의 마음이라 했기에 우리는 청정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래서 우린 청정한 마음 깨끗한 마음을 얻어야 합니다.
두 번째 갖고 싶은 맘은 감사한 마음입니다. 부처님 은혜에 감사하고, 국왕의 즉 나라의 은혜에 감사하고, 부모님 은혜에 감사하 고, 스승님 은혜에 감사하고, 중생에 감사해야 합니다. 우리 인생은 사람 혼자만이 살 수는 없고 천지자연의 모든 중생과 더불어 살아야 하니 다른 중생에게도 감사해야 합니다.
세 번째 갖고싶은 마음은 용맹심입니다. 용맹심은 모든 것을 성취하게 합니다. 맹자의 말씀에 “하늘이 어느 사람에게 천하를 맡기려 할 때에 그 사람에게 그 심지를 괴롭히고 늑골을 고달프게 하고 체구를 줄이게 하고 일마다 뜻대로 되지 않게 하 나니 보통사람 힘으로 참지 못할걸 참게 하고 감당하지 못할걸 감당하게 하여 배를 주리게 하는 등 고통과 시련을 겪어서 위대하게 된다” 하셨습니다.
네 번째 갖고 싶은 마음은 지혜의 마음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제각기 각자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해 살고 있지만 인간존재의 근원인 생명의 실상은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마음을 깨달아야 생사에서 해탈하여 벗어날 수 있습니다.깨쳐야 됩니다. 깨쳐야 생사의 근원을 알게 되고 선악의 근본을 알게 되어 우주와 내가 둘이 아님을 깨달아 생사에서 벗어나 영생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선의 큰 뜻은 이와 같이 망식을 탈각하고 참다운 근원을 찾는 것이요, 욕망과 아집 에 찬 삶을 근원적으로 비판하고 벗어나 진실하고 자비롭게 살자는 것입니다. 나의 주관으로만 세상을 볼 것이 아니라 삼라만상의 관계성 속에서 나를 파악하여 전 인적인 세상을 만드는 것이 선이 지니는 참 의미라 하겠습니다. 이것이 지혜의 마음이요. 참 나이고 생멸이 없는 청정법신의 자리입니다. 성불하십시오._()()()_
'위 없는 법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說延命地藏菩薩俓 (1) | 2024.07.02 |
---|---|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경 (0) | 2024.06.30 |
금생과 내생 (1) | 2024.04.29 |
아공과 법공 느껴야 (3) | 2024.04.20 |
어떻게 살아왔던 지금 이순간 무조건 감사해라 (7) | 2024.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