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한 마음!
탐욕은 인간을 미혹한 삶으로 이끌어 수행 통해서만 ‘탐욕’ 씻어낼 수 있어
‘욕망을 최고의 반려로 삼는 사람은 오래도록 미혹의 세계를 헤맨다.
이 곳 저 곳으로 떠돌아다니며 미혹한 생을 되풀이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 미혹의 세계를 뛰어 넘을 수도 없다.
이와 같은 사람은 탐욕이 괴로움을 낳는다는 것을 알아 집착을 끊어야만 한다.’
인간에게 가장 큰 괴로움은 탐욕으로부터 오는 속박, 이것은 사람의 마음을 잡아당기고
휘몰아 이로 인해서 인간을 미혹의 생으로 떠돌게 하는 원인이 된다.
부처님은 “나는 탐욕의 마음보다 더한 속박을 보지 못했다”고 설한 바 있다.
이는 탐욕의 마음이 인간의 마음을 악하게 만들고 미혹의 세계로 이끈다는 것을
염려하신 말씀이다. 인간에게는 세 가지의 욕구가 있다. ‘식욕’, ‘성욕’, ‘수면욕’이다.
이 세 가지를 잘 다스리기만 해도 성불을 이룰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세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조차도 다스리지 못하면서도 인간은 또 다른 욕구인
탐하는 마음을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이것이 인간을 미혹의 세계로 빠뜨리게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이다. 부처님이 우리에게 끊임없이 가르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를
탐하려고 하고, 소유하려고 하고 붙잡으려고 하는 ‘마음의 집착’을 끊어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집착은 나중에 자신도 모르게 최악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미리 부처님은
예견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최상의 길은 무엇일까.
그것은 영화나 부귀에 홀리지 않고 인생의 뒷면에 흐르는 덧없음에 대한 무상(無常)을
깨닫는 것이다. 무상을 깨닫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덧없음을 깨닫는 데는 많은 고행의 순간을 겪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스스로 어리석음에 빠져 고통 속으로 헤매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순간, 순간을
잘못 살아왔기 때문인데 자기 것이 아닌 것을 소유하려하고, 자기 것이 아닌 것을 붙잡으려
하고, 자기 것인 아닌 것에 집착하는 마음이 자기 자신을 한없는 고통 속에 빠뜨리고 있다는
이 당연한 사실을 스스로 뉘우치지 못한 탓이다.
한국불교의 근대 고승이었던 효봉 스님은 인간이 고통 속에 헤매는 것은 인간이 가진
본래의 마음인 ‘착한 마음’을 버리기 때문이라고 하신 적이 있다.
아유일륜월(我有一輪月) 무영역무상(無影亦無相)
약욕견차월(若慾見此月) 선심절막망(善心切莫忘),
즉 “나에게 달이 하나 있으니 모양도 없고 그림자도 없네.
이 달을 보려면 착한 마음 잊지 말라”는 글귀이다.
모양도 없고 그림자도 없는 달이란 무슨 말일까. 모든 인간들이 다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지고 있는 줄까지 모르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하기 그지없는 인간의 어리석음을 되묻는
효봉 스님의 고담준령(高談峻嶺)의 말씀이다. 모든 인간들은 근본적으로 ‘달빛 같은 착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런 것조차 모르니 참으로 ‘어리석다’라고 할 수 밖에 없다.
부처님이 ‘집착을 끊고 무소욕의 삶을 살아라’하는 것이나 효봉 스님이 ‘착한 마음 잊지
말라’는 것도 은밀하게 보면 일맥상통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이렇듯이 어리석은 중생에 지나지 않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순간, 순간을 노력 하고
정진하지 않고 오직 탐욕에만 눈이 멀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생각과 마음에 존재의 자리
흔히 우리가 마음이라고 부르는 이 마음 근본 생명에서 벗어난 그림자입니다.
그러한 모든 마음은 엄연히 흘러가는 마음,
즉 고정적으로 실제하지 않는 '생각'인 것입니다.
기쁜 생각을 일으켜도 단 5분이나 10분을 지속하지 못하고
또 다른 슬픈 생각이나 온갖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서 흐르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전류(轉流)하는 중생의 생각(망상)의 그림자이지요.
생각이 일어나는 그 바탕이 '마음'입니다. 그 자리는 아무리 찾아봐도 알 수 없습니다.
여기는 생각으로 미치지 못합니다. 생각이 끊어진 자리입니다.
그 자리는 항상 있어서 일찍이 생겨나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는
불생불멸하는 마음자리, 항상 밝게 빛나는 아주 영특한 자리입니다.
이 자리를 불교에서는 부득이 이름을 지어서 마음이니 부처니 열반이니 하는 단어로 표현
그러나 그것은 부득이해서 붙이는 말이지
그 자리는 마음도 아니며 부처도 아니며 열반도 아닙니다.
이 마음자리는 어떠한 이름이 없습니다. 모양도 없습니다.
둥근 그릇에는 모난 모양이 담길 수 없고, 검은 색은 흰 것과 공존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렇듯 고정된 모양이 있다면 다른 것을 수용할 수 없습니다.
마음이 본래 악하다면 다시 착해질 수 없을 것이고,
마음 빛이 본래 붉다면 다시 푸르지 못할 것이고,
마음이 본래 강하다면 다시 부드러워지지 못할 것입니다.
이 자리는 붉지도 않고 푸르지도 않으며, 모나지도 않고 둥글지도 않으며,
강하지도 않고 부드럽지도 않으며,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며, 강하기도 하고 부드럽기도 하며,
착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하는 온갖 작용을 합니다.
이 마음은 우주를 송두리째 집어 삼켜도 부족함이 없고,
이 마음을 똘똘 뭉쳐서 바늘 끝 같은 구멍에 몰아넣어도 비좁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흘러가는 조각조각의 생각을 실재하는
그 어떤 것으로 착각하여 거기에 사로잡혀서 갈피를 못 잡는 것입니다.
여러 환경에 따라 기쁜 생각이나 슬픈 생각이 자기를 죽이고 있는 것입니다.
깃발이 바람에 날리듯이 내가 사는 것이 아닙니다.
나는 웃고 싶은데 성내게 되고 나는 사랑하고 싶은데 미워하게 됩니다.
흘러가는 생각이 실재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면 흔들림이 없습니다.
그것이 참선입니다. 그리고 그 생각이 일어나는 본바탕을 돌이켜 보는 것이 참선입니다.
이 근본 마음을 알면 내가 웃고 내가 성내고 내 인생을 내가 만듭니다.
내가 사는 것이지 피동적으로 주위 환경에 의해 사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것에 구애 없이 자유자재로 살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심안의 등불!
큰 원력으로 염원하며 작은 경계에 마음을 열지 못한
나를 발견한 것이다
모든 일에 있어서 자신이 생각하고
온전히 마음을 다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모든 고정관념이란 틀에 맞춰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매 순간 돌아오는 관념들은 나의 사고영역에서만 허락될 뿐,
옳고 그르다고 정해진 것은 없었다
이렇게 대중 속에서 내 생각의 한계는 조금씩 무너졌다
현상마다 내 모습 아닌 것이 없고
경계마다 내 모습 아닌 것이 없었다
대중이 선지식(스승)이요
깨달음을 구하는 우리에게는 아니 나에게는
그 처럼 서로 화합하며 공경하는 것이 수행의 덕목이 아닐는지..
불법과 대중을 스승 삼아 자신을 다스릴 줄 아는 것이
나의 과제라는 듯
온누리에 뻗은 햇살까지도 나의 등불이 되어준다
바닷물 속에서는 파도가 일지 앉고 잔잔하듯이 고요히 머물러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인연들,
또 소소하게 겪게 되는 일들이 지나고 보면
나의 삶의 자세를 바꾸어 놓기도 하고
일상에서 깨어 있게 하는 힘을 주기도 한다
이 세상에는 내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또한 내 것이라고 이름 지어 놓은 것이 있는가 말이다
내 것이라고 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런데 사람들이
‘내 것’에 집착하든지, 소유함이 없이 모든 것을 줌으로써 온 세상을
가질 수 있는데 말이다
부처님은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고 상고 일체 법을 등불로
삼을지언정 남을 믿거나 남을 의지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수행할 시간이 많고 많은 것 같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시간은 나를 위해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시간의 소중함을 알고 살아 있을 때 덕을 부지런히 쌓고 공부해야 합니다
맑은 하늘을 떠가는 구름
형상을 갖고 있으면서 영원하지는 못한 것
인간의 욕망도 그러하리라
욕망은 영원한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못한다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듯
덧없는 욕망을 쫒는데 일생을 허비하지 말고
스스로 불성을 깨치라고 말없이 가르침을 전하는
정갈하고 단아한 경내에 들어서면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조용한 산사의 암자
집착의 어두운 곳
머무는 그곳에는 곧 밝음이 있다
탐진치에서 마음 한 번 뒤집으면 도가 된다고 하였다
산사는 언제나 진리의 세계를 구하는 길목이며
마음자리 밝히는 곳
내 마음이 고즈넉한 편안함을 선사하는
그곳이 법이 머무는 수행의 향기를 쌓아가는 곳이다
계곡 아래 폭포,
웅장한 물소리가 내 발길을 붙잡듯
저 거칠 것 없는 야생의 사자후를 들어보라
말과 생각이 끊어진 이 천연의 산중에서
이렇게 글을 토해낸들
그것이 저 풀 한 포기의 떨림인들 담아낼 재간이 있겠는가!
그저 걸으며,
소담히 소요하며 침묵으로 바라볼 수 있을 뿐!
'소소한 삶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경이 나에게 빗받으러 올 때 (3) | 2022.11.06 |
---|---|
세간 속 허수아비 (2) | 2022.09.24 |
지난날 업의 숙명이 날 일으켜 세운다 (3) | 2021.02.15 |
이보시게 다 내려놓고 가세요(하심) (2) | 2020.10.03 |
사유하는 함이 없음(無念) (1) | 20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