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나와 남을 가르면 마음에 독이 생겨요. 편견 놓고 대하면 둘 아닌 하나지요. 먼저 ‘불교는 철학인가 종교인가?’ 하는 해묵은 질문을 말머리로 삼아 보겠습니다. 어쩌면 이 질문은, 불교라는 종교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한 끊임없이 반복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불교를 바탕으로 한 철학적 입장은 가능하겠지만, 그렇다고 불교를 철학과 등치시키는 것은 종교의 생명이라 할 실천력을 거세시킬 위험을 안고 있는 것 같습니다. ‘종교’ 할 때, ‘종(宗)’ 자를 한번 가만히 생각해 봅시다.
‘종’은 뿌립니다. 뿌리를 안다는 것은 우주와 사물의 실상, 즉 본질을 안다는 것입니다. 본질을 아는 것에서 철리가 나오는 것, 그리고 그 철리를 연구하는 것이 철학이예요. 그러나 이성과 오관으로 따지는 철학은 인간의 이율배반 의식 위에 서 있어요.
하지만 뿌리를 찾는 일, 다시 말해 고향으로 돌아가는 행위로써의 종교는 다른 차원이에요. 본질 자체를 이치적으로만 따지는 것이 철학이라면, 불교는 그것을 체득하는 종교입니다. 그리고 그 본질 자체를 의인화하면 곧 부처인 것이지요. 따라서 불교란 부처를 찾는 종교이고, 부처를 찾는 일이란 자신의 마음을 아는 일인데, 문제는 이 마음속에 든 이율배반 의식, 이게 병이에요. 그런데 이 이율배반 의식을 싹 비워버리면 격물치지(格物致知), 사물의 실상을 딱 깨치는 거지요.
그럼 깨쳤다는 것은 뭐냐? ‘도(道)’에 순응하는 겁니다. 이게 바로 불교라는 종교의 본질입니다.
그렇다면 사물의 실상 즉 존재의 본질이란 무엇입니까?
우주와 사물의 본질은 바로 ‘불성’ 달리 표현하면, 참마음 즉 ‘내 마음의 부처’ 혹은 도(道)가 그것이지요. 결국 불성의 현현이란, 이 마음을 어떻게 쓸 것인가? 하는 문제로 직결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현의 가르침에 의하면 일체가 유심조(一切有心造)라 모든것이 마음이 만들어 내는 거라는 말 이 마음에는 두 가지 의식이 있어요. 긍정적인 의식과 부정적인 의식. 우주와 인생의 본질을 깨닫고 나면 긍정적이고 성취적인 의식이 나옵니다. 마음의 그림자가 하늘의 기운으로 바뀌는 자연에 순응하는 겁니다.
그다음, 부정적인 사고란 뭐냐. 밉다 곱다, 좋다 나쁘다는 등의 분별심이에요. 이걸 서양 종교에서는 ‘선악과를 따먹었다’고 하지요. 선악과를 따먹었으니 마음 속에는 선·악이라는 두 가지의 이율배반 의식이 딱 붙어 버립니다.
그래서 감정을 일으키고 눈만 뜨면 밉다 곱다, 옳다 그르다를 시비하게 되는 겁니다. 시비 가운데 일으키는 감정이 뭐예요. 칠정입니다. 모양도 냄새도 없는 이 마음이, 격하게 노하고 분별없이 기뻐하고 사랑하고 미워하고 슬퍼합니다. 그러다 보면 근심 걱정에 사로잡히게 되고 오장이 상하게 되지요. 본으로 삼아야 할 인격에 세 가지 요소가 있어요. 지·덕·체가 그것입니다.
지혜와 몸과 용기를 단련하라는 것, 그러나 이건 서양식 도덕률이나 운동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주의니 뭐니 하면서 까불 일이 아니고 유물론적 사고라는 것도 인간의 의식에 기초한 이원론적 철학의 결과 아니에요?거듭 강조하건대, 긍정적인 사고란 ‘내가 바로 부처’임을 아는 것입니다. 그러면 산하대지 초목총림이 부처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우주의 생명 활동이라는 것은 부처가 부처를 노래하는 것 두두물물 화화초초가 다 부처인 것이지요.
전부 한 뿌리에서 나온 것, 그걸 자각하는 것이 긍정적이고 성취적인 인생관입니다. 그리 되면 지혜가 용틀임하면서, 된다 안된다 하는 생각이 사라지고 대긍정의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돌아서고 나면 자신도 모르게 또 분별심에 사로잡혀 이율배반 의식을 일상의 삶 가운데서 없애 나갈 수 있겠습니까? 부정적인 사고에서부터 나와 남을 갈라 보게 됨 그러면 마음에 독이 생겨요.
그래서 원수를 사랑하라는 건데,이것도 옳은 말은 아니에요. 원수는 사랑하는 게 아니고 원수란 없다! 이거예요. 이 도리를 바로 알아야 어제까지는 원수와 은인이 있었는데, 오늘 턱 본래 마음을 보고 나니까 전부가 내 몸이에요.
선·악이라는 이율배반 의식이 싹 사라진 것 이런 마음으로 사는 것이 부처의 마음과 몸으로 사는 것이다. 사람 인(人) 자에 벌써 선악이 다 들어 있습디다. 이원론이에요 불교는 인간의 학문이 아니에요. 섣부르게 불교가 휴머니즘이다 하면서 어쩌고저쩌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미친 소립니다. 지금 지구의 몰골을 보세요. 인간주의 합리주의 운운 하면서 다 뒤집어 놨잖아요. 불교에서는 인간의 본질 자체가 신이고 부처예요. 그게 바로 불성입니다. 바로 그러한 일원론적 세계관에 투철해야 합니다.
집중해야 힘이 생긴다 24시간 하루를 살아도 정신없이 사는 것이 우리 중생의 삶인데 그런 가운데에도 항상 자기의 근본 마음을 잃지 않고 사는 것이 참선입니다. 그래서 밖으로 일체 경계에 흔들리지 아니하고, 안으로 자기 마음에 모든 산란심이 사라진 자리가 참선자리.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앉아 있어도 모든 상념이 불끈불끈 일어나 계속해서 온갖 생각이 들끓습니다.
이래서는 백 년을 앉아서 참선한다고 해도 잘 안 되게 마련입니다. 거울에 초점을 맞추어 햇빛을 모아야 불이 일어나듯이 우리의 생각도 초점을 맞추어야 그 모르는 의심 덩어리를 뚫고 갈 힘이 생깁니다. 기쁜 생각, 슬픈 생각, 미워하는 생각, 사랑하는 생각, 과거·현재·미래의 온갖 잡념에 흩어지면 집중력을 잃고 힘이 없어집니다.
세상의 모든 학설에 대해서도 모든 것을 철저히 알면 알수록 마음이 정돈됩니다. 그래서 공부가 많이 된 사람들은 몇 마디 안 해도 서로 마음이 통합니다. 몇 마디 근본만 얘기해도 그것이 무슨 말인지 정리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한두 마디로 인류의 모든 이론을 다 끊어 버리는 것이 가능하지요. 어리석고 공부 정도가 얕을수록 말이 많다
생명의 본질
나고 죽는 것이 없는, 생명이 홀로 완전히 드러나서 고금이 없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생명의 존재물들, 이것을 불교에서는 진여라고도 하고 자성 진아 참자기라는 등 여러 가지로 표현합니다. 집착을 끊으려면 초연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초연한 마음은 망상심이 쉬어야 나옵니다. 망상심은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닙니다.
그것은 안개와 같고 구름과 같아요. 안개와 구름이 본질적으로 존재합니까. 기후 변화에 따라 임시로 거미줄 치듯 한 게 안개예요. 실상이 없는 것. 우리들이 평소에 생각하는 것이 그것과 같습니다.
이것 가지고는 제대로 사는 게 아니고 망상 속에서 사는 우리를 고통이 없는 상락아정의 세계로 데려다 놔야겠다는 분이 부처님입니다. 뱃사공이지요. 진여의 세계에서는 집착도 끊어지고 망상심도 사그라집니다.
현재 모습과 삶은 다겁생래에 한 행위에 의한 업보 때문이에요. 영하로 내려가면 물이 얼음이 되는 것과 같아요.
얼음을 누가 만든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라 얼음이 생긴 것이고 기후변화가 일어나면 물로 돌아가지요. 이 세상 존재물 모두가 그런 이치 이것을 인연법이라 합니다. 인연 소치로써 존재하는 것이지요. 세속에 사는 우리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첫째 사람의 도리를 지켜야 합니다 사람의 도리를 지킨다는 것은 사람다운 짓을 하라는 것이지요. 사람임에도 짐승다운 짓을 하기 때문에 이 세상은 대단히 어지럽고 삭막하고 전쟁이 일어나는 겁니다.
사바세계가 원래 고통스러운 세계는 아닌데 이 생명의 존재물들이 사고를 그렇게 하고 행동을 그렇게 해서 온갖 고통과 갈등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얼음이 언 것이지요. 얼음 때문에 생명의 존재물들이 기지개를 펴고 놀지 못하도록 한 세계가 우리들이 만들어 논 세계죠. 이제 봄이 왔으니까 얼음이 녹을 때가 다 된 것 아닙니까.
선행을 닦아 착한 행을 하면 부처님께서는 그 사람도 모르게 명원가피를 주십니다. 명원이라는 것은 자기가 알지 못하게 우연히 오는 것으로, 사람들은 횡재 만났다고 그러지요. 횡재가 아니라 착한 일을 하면 금생에 아니면 내생이라도 복을 받도록 되어 있어요. 빨리 받을 수도 있고 늦게 받을 수도 있는데 전생부터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나무 석가 모니불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