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 없는 법의 말씀

머리로 헤아리고 계산하여 육근에게 휘둘리지마세요

인연의 네 가지 

첫째], 무인무연(無因無緣), 즉 인(因)이 없으니 연(緣)도 없다는 것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세간의 모든 것은 암암리에 그렇게 되도록 운명 지어져 있어서 우연(偶然)이나 신(神)의 뜻에 의해 또는 숙명(宿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 결코 인과(因果) 관계(關係)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마치 돌에서는 기름을 짜낼 수 없지만 만약 기름을 짜낼 수 있는 경우 그들은 석유층의 구성과 형성원인은 탐색해 보지도 않고, 우연히 그렇게 된 것뿐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들은 또 어린아이가 너무 지나치게 많이 먹어 탈이 나도 포식의 화인(禍因)은 살피지 아니하고 그저 “운명이로구나! 운명이야!” 하며 탄식할 뿐이며, 강도가 물건을 빼앗기 위해 사람을 상하게 하여도 그 피해자 가족들은 이렇게 된 것을 그저 숙명(宿命)으로 돌릴 뿐입니다. 그처럼 모든 것을 신(神)의 뜻으로 돌리는 사람들, 그들은 일체의 모든 것은 신(神)이 분부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현세(現世)에서의 자신의 인생에 대해 스스로가 주인이라는 가치의식을 부정합니다.

또한 일체의 모든 것이 자신의 노력여하에 달려다는 자아의식을 부정합니다. 이처럼 인생에 대한 개인의 노력을 철저하게 무시하고 모든 것을 운명(運命)으로 돌리는 것은 외도(外徒)이지, 올바른 인연론(因緣論)이 아닙니다.

둘째],는 무인유연(無因有緣), 즉 인(因)은 없고 연(緣)만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은 이 세상에는 과거에 의한 인연과보(因緣果報)라는 것은 결코 존재하지 않으며, 일체 모든 것은 현실적인 조건이 모여 이루어진 것이라 주장합니다. 이런 주장은 ‘만반의 준비가 다 갖추어졌으나 다만 동풍(東風)이 불지 않을 뿐이다. ’(즉, 모든 조건이 다 갖추어졌는데 오직 한 가지 조건만이 아직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논리입니다. 예를 들면,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났지만, 어떤 자식은 분심을 내어 열심히 노력하여 성공을 하였으나, 어떤 자식은 분심도 내지 않고 노력도 하지 않으며 장래성도 없다고 한다면, 이런 경우 그가 운이 나쁘고 기회가 없어서 그렇게 되었다고만 생각할 수 있겠습니까?, 또 같은 선생님이 길러낸 학생들 중에서 어떤 학생은 성적이 좋고 어떤 학생은 성적이 나쁩니다. 성적이 나쁜 것을 단지 그 학생의 노력 부족으로만 돌리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재능과 총명함의 차이를 보지 못한다면 이는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편견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서 말한, 선천적으로 타고난 재능과 총명함은 ‘인(因)’인 것이요, 그 학생의 노력은 ‘연(緣)’인 것입니다.

셋째],는 유인무연(有因無緣) 입니다. 즉인(因)만 있고 연(緣)은 없다고 하는 견해(見解)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인(因)과 연(緣)은 전혀 별개의 것으로 생각합니다. 가령 어떤 일이 발생하는 경우, 인(因)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연(緣)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불법(佛法)의 인연생멸(因緣生滅)의 오묘(奧妙)한 이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재능이 있으면서도 그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한 예가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젊어서 취직을 하러 회사에 갔더니, 회사 측에서 나이 든 사람을 원했습니다. 그래서 나이 들기를 기다렸다가 몇 년 뒤에 다시 갔더니 회사에서는 오히려 젊은 사람을 원하고 있습니다. 또 오늘 어떤 회사에 갔더니 기혼자를 원했습니다. 서둘러 약혼과 결혼을 하고 갔더니 이제는 미혼자를 원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유사한 일들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어떤 이들은 인(因)과 연(緣)은 전혀 별개의 것으로 인(因)이 있다고 반드시 연(緣)이 있는 것이 아니며, 또 연(緣)이 있다고 반드시 인(因)이 있는 것도 아니라 여깁니다.

이는 인연(因緣)은 한 번 정해지면 결코 영원히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時間)과 공간(空間) 속에서 수시(隨時)로 변하면서 생멸(生滅)을 거듭하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한 처사입니다.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 모든 것은 항상 함이 없이 끊임없이 변함이라,’ 시생멸법(是生滅法)이니,‘ 이는 모두 생멸하는 법 때문이다.’라고 부처님은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그러므로 “인연이 맞아야 이루어지고 인연이 있어야 일어납니다. 반대로 인연이 다 하면 허물어지고, 인연이 없고서는 아무것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선인(善因)선과(善果)요, 악인(惡人) 악과(惡果)라, 선에는 선과(善果)가 따르고 악에는 악과(惡果)가 따른다. 받지 않은 것이 아니라 아직 때가 오지 않았을 뿐이다.’라고 한 것이 바로 이런 의미입니다. 인(因)이 씨앗이라면 연(緣)은 조건(條件)입니다. 인(因)은 조건(緣)을 부르고 조건(緣)은 인(因)을 기다립니다.

앞에서 말한 세 가지 인연은 모두 한쪽으로 치우친 견해로 결코 불교의 올바른 인연론이라 할 수 없습니다. 불교의 인연과보(因緣果報)는 고리처럼 서로 맞물려 있고 또한 상생(相生)하면서 서로 어우러져 있기 때문에 일체 모든 것에는 인(因)이 있으면 반드시 연(緣)이 있다고 봅니다.

넷째],는 유인유연(有因有緣)입니다. 즉인(因)이 있으면 연(緣)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일체법은 모두 인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대승(大乘)과 소승(小乘), 성리(性理)와 사상(事相), 세간(世間)과 출세간(出世間)을 막론하고 일체 유위법(有爲法)은 모름지기 인연의 화합(和合)에 의해 생기는 것이므로 능엄경소(楞嚴經疏)에 이르기를, ‘ 성인의 가르침은 얕은 것에서부터 심오한 것에 이르기까지 일체법을 말씀하시되 결코 <인연>이라는 두 글자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면 집을 짓기 우해서는 기와. 목재. 시멘트... 등, 등, 많은 조건이 결합해야만 비로소 완성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또 우리가 손님들을 초대하고자 할 때에도 역시 몇 가지 기본 조건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즉 두 사람 사이의 우정이 두터운가? 상대편을 초청할 경우 그가 곤란해하지는 않는가? 때와 장소가 적절한가?...... 등등 여러 가지 인연이 갖추어져야만 원만하게 치를 수 있습니다.

어떤 부자가 손님들을 초대했습니다. 그러나 초대한 사람들 중 반만 오고 나머지 반이 아직 도착하질 않았습니다. 요리사가 주인에게 먼저 음식을 내올까요? 하고 묻자 부자는 기다리라고 했습니다. 아무리 기다려도 와야 할 귀빈들이 오지를 않자 부자는 몹시 초조해져서 원망스러운 말투로 내뱉었습니다. “에이! 난생처음으로 손님을 초대했는데 와야 할 사람은 안 오고 오지 말아야 할 사람들만 왔구먼!” 탁자에 둘러앉아 있던 손님들은 이 말을 듣자 몹시 계면쩍어서 어쩔 줄을 몰랐습니다. 그들은 속으로 ‘주인이 결코 진심으로 나를 초대한 것이 아니로구나, 주인이 달갑지 않은 표시를 한 이상, 여기에 눌러앉아 있으면 뭐 하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손님들은 앉아 있으면 있을수록 거북해져서 한 사람씩 조용히 떠나갔습니다. 부자는 손님들 중 많은 사람이 가버린 것을 알고 다시 입에서 나오는 대로 중얼거렸습니다. “에이! 모처럼 처음 손님들을 청했는데 가야 할 사람은 안 가고 가지 말아야 할 사람만 가버렸군!” 주인이 말을 마치자, 가버리기가 좀 미안해서 그때까지 꾹 참고 눌러앉아 있던 손님들도 한 사람씩 노기 띤 얼굴로 고개를 돌린 채 떠나가 버렸습니다.

인연이 있어야 일체의 모든 일이 원만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스로 인연을 깨뜨리면 일이 원만하게 성취되기가 어렵습니다. ‘인(因:원인)이 있으면 연(緣: 조건)이 있기 마련이니, 반드시 과(果: 결과)를 성취한다.’ 고 하는 것이 올바른 인연론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생각 하나하나가 얼마나 소중하고 귀한 것인가를 알아야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마음먹고 생각하는 것이 씨앗(因)이 되어 조건(緣)을 만들고 불러 과(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하겠다는 것입니다. ‘생각이 운명을 만든다.’ 고 하는 이 사실에 진실한 동의(同意)를 할 때 비로소 불교에 조금 가까이 다가서고 있음이 확인됨과 동시에 스스로의 삶이 보이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인과를 모르면 헛 똑똑이라고 하디, 

인과는 썩지도 않는다_()()()_

 

'위 없는 법의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 묵  (8) 2024.03.23
업을 뛰어넘으라!  (2) 2024.03.18
허상 응행  (7) 2024.02.16
정해진 운명을 뛰어 넘으리!!!  (4) 2024.02.14
육조단경(六祖壇經)  (1) 2024.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