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삶의 이야기

불교애서 말하는 인과는!

불교애서 말하는 인과는!
업에 따라 내생이 결정된다고 하는 것은 불교의 기본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전생에 지은 업에 의해서 후생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 현생에 짓는 업을 내생에 받는다고 해야 맞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면 중생은 각자 생전에 지은 행위에 따라서 윤회를 합니다.
이렇게 각자가 짓는 행위를 업이라고 합니다. 이 업에는 선업과 악업이 있습니다.
선업이란 좋은 행위이고, 악업이란 악한 행위를 말합니다. 그리고 이 업에는 반드시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을 인과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선한 행위에는 선한 과보가 따르고, 악한 행위에는 악한 과보가 따른다고 합니다.

과보를 받는 것은 업에 따라서 금생에 받기고 하고, 혹은 내생에 받기도 합니다.
또는 그다음 생에 받기도 합니다. 이것은 그 업이 어떤 인연을 만나느냐에 따라
금생에 받기도 하고 내생 또는 그 다음 생에 받게 되는 것입니다.

벼가 자라는 데는 볍씨를 마른 땅에 두면 싹이 트지 못하는 것과 같이 업도 싹을 틔울 인연을 만나야
그 과보를 맺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사 전생에 악한 업을 쌓았다고 하더라도
금생에 그 인연이 성숙하지 않으면 다음 생이나 그다음 생에 인연이 성숙한 때에 그 과보를 받게 됩니다.

“악의 열매가 익기 전에는 악한 사람도 복을 받는다.
그러나 악의 열매가 익은 때에는 악한 사람은 화를 만난다.
선의 열매가 익기 전에는 선한 사람도 화를 만난다.
그러나 선의 열매가 익은 때에는 선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고 했다.

사람이 행한 행동에는 반드시 과보가 따른다는 것이 부처님의 가르침.
불자라면 반드시 인과를 믿고 항상 선업을 쌓으며 수행에 힘쓰는 것이 바른 자세입니다.

인과라는 것은 우리가 행하고 있는 행위, 즉 업에 의해서 시간․공간적으로 오는 과보를 말한다
인과에서 인(因)은 씨앗․원인이며, 과(果)는 열매․결과를 말함.

'소소한 삶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沈默  (0) 2024.12.08
無處所  (0) 2024.12.06
일체만물은 한몸 남을 해칠수 없어요  (3) 2024.12.06
현세의 불행은 지난 생의 빚 갚기!  (1) 2024.11.25
자신이 구정물통이라는 것을....  (0)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