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삶의 이야기

나도 없고 너도 없고!!!



이제는 '내가 너를 통해서 기쁨을 얻었다'라는 의미가 아니고,
'삶이 기쁨 그 하나'로 되어 있습니다〔若時於所緣 智都無所得〕.
어느 순간 보니까 산과 내가 나눠져 있는 것이 아니고, 산이 봄과 나눠져 있는 것이 아니고,
봄 속에서 느껴지는 사계의 전체의 기운과 나의 기운이 하나가 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와 같은 것의 경험을 지(智)라고 하며, 우리 삶의 닫힌 마음을 여는 순간입니다.
여는 순간 지(智)에는 능소(能所)가 없습니다〔無我〕.
이때에 유식에 주(住)한다고 하며 식장(識場)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식(識)이라고 하는 말의 근본은 나와 너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하나 된 앎의 장입니다.
그런데 이 앎이 있기까지는 '내가 너를 안다, 내가 추움을 안다, 내가 더움을 안다', 이런 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런데 더울 때는 더위 그 자체가 되고, 추울 때는 추위 그 자체가 되고,
기쁠 때는 기쁨 그 자체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내가 없고
〔無我〕 대상이 없고〔無境〕 오직 앎이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선지식께서 "더운 여름이면 더위가 돼라, 추우면 추위가 돼라"라고 이야기했습니다.
그것은 무엇인가를 나와 대상으로 세웠던 과거의 어떤 분별력에서 벗어나,
'항상 현재인 삶의 흐름을 회복했다'는 것입니다〔唯識無境〕.
우리는 현재의 흐름 속에 있는 열린 삶을 보지 못하고 과거부터 흘러왔던 삶의 여력만을 통해서 자기와 대상을 보기 때문에, 지금 흘러가고 있는 열린 삶을 놓치게 됩니다. 지속적으로 관찰하다 보면 관찰하려고 하지 않아도
저절로 관찰이 되면서, 한 생각이 일어나고 한 동작이 일어나려고 할 때마다
바로 여기에서 진실한 삶으로 가게 하는 힘이 생기게 됩니다.
이 순간에 분별을 떠나 하나 된 앎의 장에 살아 있음을 유식에 주한다'라고 합니다〔爾時住唯識〕.

지금까지는 삶의 주체가 아(我)로 되었고, 그밖의 다른 것은 대상이 됐습니다. 이제는 '아와 법'이 어우러진 하나의 장으로 삶이 바뀌면서 '연기실상의 관계'인 의타기성과 '연기실상의 원만한 이룸'인 원성실성으로 돌아갑니다. 이때에는 우리의 삶이 하나가 되어 있어서 능취와 소취를 떠났기 때문입니다〔離二取相故〕.

 

'소소한 삶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상 인연을 소중히 생각하세요  (0) 2024.12.29
생활불교 菩薩行  (4) 2024.12.29
沈默  (0) 2024.12.08
無處所  (0) 2024.12.06
불교애서 말하는 인과는!  (0)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