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 곳간

반야선

 

해지기 전 자신을 한 번 만나보라 살 때 살 줄 알고 살아야,

갈 때 갈 줄 알고 갑니다.

오늘부터 해지기 전에 자신이 자신을 한 번 만나보세요.

뭐가 바쁜가? 죽자 살자 일하는 것이 늙어 죽는 것밖에 하는 것이 없어요.

늙으면 간다고 하지만 갈 곳도 안 찾아놓고 한 치 앞 갈 길도 모릅니다.

또 갈 놈이 누군지도 모르고 간다고 하니 전부 남의 다리 긁고 수박 겉핥고 살아요.

오늘부터 정말 ‘내가 누구냐?’

한 번 물어서 대답 안 하고 두 번 물어서 답이 없으면, 세 번 만에 죽여야 됩니다.

자기가 자기 말 안 듣는 놈에게 밥 주고 물 주고 하겠습니까?

정신 바짝 차리고 살면 ‘하나 둘 셋’ 할 때 나와서

서로 끌어안고 춤을 덩실덩실 추며 노래를 부릅니다.

천하 만물은 무비선(無非禪)이요, 세상만사는 무비도(無非道)로다.

나무아미타불! 내가 나를 한 번 만나서 끌어안고 보면

지금 부른 노래처럼 천하 만물은 진리 아님이 없고 세상만 가지 일이 도 아님이 없다.

네 탓이니 내 탓이니 늙었다고 원망 불평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 해지기 전에 등은 땅에 붙이지 말고 눈 붙이지 말아야 합니다.

등을 땅에 붙이면 파충류 몸을 받고, 눈 붙이면 장님 연습하는 겁니다.

아직까지 낮에 등을 땅에 붙인 일도, 눈 붙인 일도 없어요.

눈을 붙이고 흐리멍덩하게 살면 피가 탁해집니다.

여러분이 불교 믿는다고 할 때 믿을 ‘신(信)’자 하나라도 똑똑히 알고 믿어야 합니다.

절에는 뭐 하러 가느냐고 하면 안 늙어 죽는 법 배우러 가야 됩니다.

‘불살생’이 파리나 모기도 죽이지 말라는 뜻도 있지만,

사실은 생사고뇌에 죽지 말라는 말입니다.

죽는 일하며 산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절에 와서 복 지으려고 부처님께 실컷 절하고 나가다가 신에 흙이 묻었다고

남에게 욕하면 절한 복을 다 쏟아버리게 됩니다.

심보를 잘 써야 합니다. 알고 살아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하루에 한 마디씩 내가 본 세상을 쓰면 좋습니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이 밝은 시간을 정말 금쪽같이 아껴야 합니다.

밝은 기운을 가지고 앞을 내다보며 여유 있게 살아야 됩니다.

그러려면 남은 시간을 허비하지 말고 하루에 한 마디씩 써야 합니다.

눈도 보배고, 귀도 보배고, 코도 보배고,

입도 보배고, 손도 보배고, 발도 보배입니다.

이 여섯 가지를 관리 잘해서 잘 쓰면 존경받고 잘못 쓰면 자기 아들딸에게도 밟힙니다.

정말 받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았을 때

기와집 짓고 자가용 타면서 잘 사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이 집주인을 만나봐야 합니다.

남의 집에서 몇십 년씩 살면서 집주인도 안 물어보고

만나볼 생각도 안 하고 전부 허탕으로 살고 있어요.

하루 한 마디씩 쓰면서 눈에게 귀에게 코에게도 물어보면 대화가 됩니다.

_()()()_

 

마음 잘 쓰는 것이 공덕을 짓는 것이다

만일 보살이 마음을 잘 쓰면
온갖 수승하고 묘한 공덕을 얻어서
모든 부처님의 도(道)에 머물며,
중생을 따라 머물러 항상 떠나지 아니하며,
모든 법을 다 통달하며,
온갖 나쁜 것을 끊고 모든 선을 갖추며,
당연히 보현과 같이 색상이 제일이며
온갖 행과 소원을 모두 이루어
일체 법에 자재하지 못함이 없다

'마음 곳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茶의 香  (1) 2022.12.02
가피의 길  (6) 2022.11.22
무지한 사람은 기도해도 복을 짓지 못 함  (1) 2021.09.29
다라니 수행  (1) 2021.07.28
유수같이 빠른 세월, 분심을 일으켜 마음공부하라  (2) 2021.03.23